1. USB 메모리를 리눅스서버에 꼽는다.
2. USB 장치를 마운트할 디렉토리 생성
# mkdir /mnt/usb
3.modprobe명령을 이용한 ide-scsi 모듈 로드
# modprobe ide-scsi
4.어떤 장치명으로 할당되었는지 확인한다.
# fdisk -l 또는 # dmesg로 확인 가능
(기본 파티션을 제외한 /dev/sda 또는 /dev/sdb 등의 장치명이 뜬다.)
5. USB 장치가 /dev/sdb1 이라고 예를 들고 장치를 마운트 한다.
# mount -t vfat /dev/sdb1 /mnt/usb
(마운트할장치명) (마운트된위치)
6. 그리고 사용~~~
# cd /mnt/usb
7. 사용이 끝나면 마운트 해제
# umount /dev/sdb1
또는
# umount /mnt/usb
** 한글 깨짐 복구**
mount -t vfat -o iocharset=cp949 /dev/sdb1 /mnt/usb
**부팅시 한글 및 자동 인식**
1. vi 편집기로 fstab를 수정
#vi etc/fstab
/dev/sdb1 /mnt/usb auto noauto,iocharset=cp949, user 0 0
2. USB 장치를 마운트할 디렉토리 생성
# mkdir /mnt/usb
3.modprobe명령을 이용한 ide-scsi 모듈 로드
# modprobe ide-scsi
4.어떤 장치명으로 할당되었는지 확인한다.
# fdisk -l 또는 # dmesg로 확인 가능
(기본 파티션을 제외한 /dev/sda 또는 /dev/sdb 등의 장치명이 뜬다.)
5. USB 장치가 /dev/sdb1 이라고 예를 들고 장치를 마운트 한다.
# mount -t vfat /dev/sdb1 /mnt/usb
(마운트할장치명) (마운트된위치)
6. 그리고 사용~~~
# cd /mnt/usb
7. 사용이 끝나면 마운트 해제
# umount /dev/sdb1
또는
# umount /mnt/usb
** 한글 깨짐 복구**
mount -t vfat -o iocharset=cp949 /dev/sdb1 /mnt/usb
**부팅시 한글 및 자동 인식**
1. vi 편집기로 fstab를 수정
#vi etc/fstab
/dev/sdb1 /mnt/usb auto noauto,iocharset=cp949, user 0 0
'Linux & Uni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보편적인 Linux의 부팅과정 (0) | 2009.11.21 |
---|---|
부트로더(GRUB)의 장점과 환경설정 및 부팅 과정 (0) | 2009.11.21 |
JDK 1.6.0 설치하기 (0) | 2009.11.05 |
RPM으로 베릴 (Beryl) 쉽게 설치 하기 (0) | 2009.11.05 |
proftpd 서버 설치 및 설정 (0) | 2009.11.05 |